인텔최신cpu
페이지 정보
본문
CPU 추천 성능 용도별 인텔 종류 보는방법
숨고 : 다른건 다 설명 잘해주셔서 cpu에 대한 이해가 잘 되는데 오버클럭이 뭔지를 안알려주시네..
tks gks : 너무나 쉽게 잘 가르쳐 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왔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코이영어 : 컴퓨터 알아보다 시청하게 되었는데 제일 깔끔한 설명이었어요! 이해 하기도 쉬었구요!
70세소녀 : 선생님 강의 귀에 쏙쏙 들어 옵니다.
감사 합니다
김진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최신 CPU는 비교해야 제맛! '인텔 i5-13400 vs AMD 라이젠 5 7600 테스트'
AMD 7000번대 막내인 라이젠 5 7600과
인텔 i5 라인업에서 막내 중 하나인 i5-13400을 비교해봤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CPU를 활용하고 싶으신가요?
본 영상은 도레 채널 오리지널 콘텐츠 입니다.
(미들급 CPU 2개 사니까 60만원... 실화냐..?!)
다나와 가격 비교
AMD 라이젠 5 7600: https://prod.danawa.com/info/?pcode=18718481\u0026cate=11344988\u0026_OC_=ytb23_B\u0026logger_kw=ytb23_B_2
인텔 코어 i5-13400: https://prod.danawa.com/info/?pcode=18640286\u0026cate=112747\u0026_OC_=ytb23_B\u0026logger_kw=ytb23_B_3
더보기란의 링크는 다나와 파트너스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으며 오리지널 영상 제작에 사용 됩니다.
0:00 7600 vs 13400
1:01 테스트 환경
1:51 FHD 게임 테스트
4:33 4K 게임 테스트
7:05 벤치마크, 작업 환경 테스트
8:37 소비 전력 \u0026 온도
9:04 마무리
#라이젠7600 #인텔i5 #CPU
@doretech : 4:52 배그가 아니라 '포르자 호라이즌 5' 입니다!
7:37 멀티코어와 싱글코어의 점수를 바꿔보셔야 합니다!
개떡같이 영상 만들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구독자분들 감사합니다 (__ ) 꾸벅
@amaing12 : 영상 보니깐 확실히 알수있는점 13400은 전세대 12400에 비해 많은 변화가 없었다는점 그러나 라이젠의 경우 5600x 지금도 여전히 가성기 극강으로 사용되고 있는거 더해 7600이 4080의 성능을 꽤나 끌어내올수 있다는점으로 보았을때 7600의 보드가격만 안정화 된다면 다시한번 리사수여사님의 웃음을 볼수 있을듯 합니다. 이젠 amd가 진짜 인텔한테 밀린다 이런말 못할거 같습니다. 오히려 인텔이 더더욱 분발해야할거 같아요 최근 3-4년간 amd측 씨피유가 라이젠5 3500x . 3600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한 반면 인텔은 8.9세대 이후에도 소켓 장난질하면서 소비자 우롱한거 생각해보면 12세대 이용자분들이 13세대로 건너간다고 해도 엄청난 차이를 느끼지 못할거 같습니다 특히 게임에서요...
@user-xc8ej1lm1v : FHD 환경에서 13400의 프레임이 떨어지는 것은 근본적으로 성능이 7600보다 느리기 때문에 그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K에서는 GPU가 여유가 없어서(풀로드) 프레임의 발목을 잡았다면, FHD에서는 GPU가 여유가 있어서 4K의 병목현상으로 가려졌던 CPU의 성능이 표시된거라 봅니다.
@pto1004 : 애초에 작업하고 고성능이 필요한거라면 암드는 라이젠7900이상 인텔은 13600k이상 사용할텐데
큰작업없이 공냉으로 게임컴 시스템 구성시 7600이 가성비 갑이라 생각합니다.
차후에 7천3D제품도 노릴수 있구요.
FHD글카병목도 그닥없고 되게잘나온 시퓨라 생각해요.
영상처럼 돈 조금더 태울거라면 i5 13500 좋습니다
@user-zb8oi7bi7l : 이게 13400이 찌발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단순히 보면 같은 세대라고 볼 수 있는데요, 13400 의 내부 캐시라던가 등등 살펴보면 13600 이랑 달라요. 13400 은 12400에서 E코어만 생긴 버전 느낌이구요,
13600 은 13700 에서 코어가 적은 버전 느낌이에요. 아예 기반 자체가 달라요.
달리 말하면 13400 은 12400 이랑 E코어 늘어난거 말고는 성능차이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즉 게임성능은 12400 에 비해 차이가 적습니다.
그냥 13세대라고 무늬만 붙여놓고 비싸게 팔려는 상술입니다. 인텔 아직 정신 못차렸습니다.
즉 13600 미만 버전들은 그냥 12세대 인텔 혹은 5천번대 라이젠이랑 비교 대상인겁니다.
고로 13400 사는 인간들은 호갱인겁니다. 아예 돈 더 써서 13600 가거나 가성비 따지면 12400 간 다음에 그래픽 카드를 하나 더 높은거 사세요.
500만원에서 14만원이 된 CPU리뷰
제품명 - E5 2696 V3
일반 소비자 판매용 제품은 아니었으나
세월이 지나며...제 손에 14만원에 들어왔습니다.
#제온
#떡락
#CPU
무한질럿 : 고급 구형cpu가 아무리 코어가 많고 오버해서 클럭을 올려도 보급 신형cpu를 이기기 힘든게 내장된 명령어셋에서 차이가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세대가 바뀔수록 효율좋은 명령어셋이 계속 추가가 되거든요. 구형이 하나하나 생각하며 계산할 때 신형은 그냥 공식에 넣고 바로바로 뽑아내는거죠.
JC : 정말 AMD가 부활하기 이전, 그러니까 라이젠 나오기 전에는 이런 제온 같은 코어수 많은 CPU들의 가격이 엄청나게 비쌌었죠.
AMD한테 정말 고마운 게, AMD가 아니었다면
아직도 인텔의 짠물코어로 4코어 4쓰레드나 4코어 8쓰레드에 멈춰있었을 거에요.
그래서 독점은 무섭고, 경쟁사가 있는 게 소비자 입장에선 좋은 겁니다.
riwon : 과거엔 구경도 못하는 시퓨를 이제 가정에서 조립해서 써볼수 있다는데에 의미가 있겠네요~ 이런 시퓨로 게임벤치 영상 구경 해보는것도 세월이 참 많이 지나긴 했구나 싶기도 하구요 ㅎㅎ
김현준 : 최근 CPU 싱글코어 성능이 급격히 좋아져서 멀티작업까지 영향을 끼치네요.
게임이며, 작업이며 일반인이 무리해서 하이엔드 갈 필요가 없는것 같아요.
상황에따라 최신세대 i3, i5만 가도 여유롭게 쓸듯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가애담(HAN DIY TV) : 좋은 영상 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도 작년에 오랜만에 제 PC를 만들어서 컴퓨터 한번 만들면 8년은 쓰는 타입이라...
영상 편집도 할 겸... 코어수가 많은 5900x로 PC를 만들었습니다.
생각보다 영상편집 인코딩에서... CPU의 멀티코어 사용율이 높지 않아서... 약간 아쉬운 면이 있었습니다.
5950X를 사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또한 하드웨어 가속기(GPU)를 이용하여 인코딩을 하면 좀 인코딩 속도는 좀 빠르겠지만... 3070 그래픽 카드만 해도...
CPU보다 가격이 비싼데... 조금 더 빠르게 인코딩 하자고 그래픽카드를 혹사하는 것 보다는...
차라리 5900x 인코딩 시켜 놓고 남는 시간에 썸네일 편집이나... 유튜브 검색 등을 하며 기타 다른 작업을 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
멀티코어 활용에 대한 아쉬움이 있던 참에 공감하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숨고 : 다른건 다 설명 잘해주셔서 cpu에 대한 이해가 잘 되는데 오버클럭이 뭔지를 안알려주시네..
tks gks : 너무나 쉽게 잘 가르쳐 주셔서 귀에 쏙쏙 들어왔습니다.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코이영어 : 컴퓨터 알아보다 시청하게 되었는데 제일 깔끔한 설명이었어요! 이해 하기도 쉬었구요!
70세소녀 : 선생님 강의 귀에 쏙쏙 들어 옵니다.
감사 합니다
김진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최신 CPU는 비교해야 제맛! '인텔 i5-13400 vs AMD 라이젠 5 7600 테스트'
AMD 7000번대 막내인 라이젠 5 7600과
인텔 i5 라인업에서 막내 중 하나인 i5-13400을 비교해봤습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떤 CPU를 활용하고 싶으신가요?
본 영상은 도레 채널 오리지널 콘텐츠 입니다.
(미들급 CPU 2개 사니까 60만원... 실화냐..?!)
다나와 가격 비교
AMD 라이젠 5 7600: https://prod.danawa.com/info/?pcode=18718481\u0026cate=11344988\u0026_OC_=ytb23_B\u0026logger_kw=ytb23_B_2
인텔 코어 i5-13400: https://prod.danawa.com/info/?pcode=18640286\u0026cate=112747\u0026_OC_=ytb23_B\u0026logger_kw=ytb23_B_3
더보기란의 링크는 다나와 파트너스 일환으로
소정의 수수료를 제공받으며 오리지널 영상 제작에 사용 됩니다.
0:00 7600 vs 13400
1:01 테스트 환경
1:51 FHD 게임 테스트
4:33 4K 게임 테스트
7:05 벤치마크, 작업 환경 테스트
8:37 소비 전력 \u0026 온도
9:04 마무리
#라이젠7600 #인텔i5 #CPU
@doretech : 4:52 배그가 아니라 '포르자 호라이즌 5' 입니다!
7:37 멀티코어와 싱글코어의 점수를 바꿔보셔야 합니다!
개떡같이 영상 만들어도, 찰떡같이 알아듣는 구독자분들 감사합니다 (__ ) 꾸벅
@amaing12 : 영상 보니깐 확실히 알수있는점 13400은 전세대 12400에 비해 많은 변화가 없었다는점 그러나 라이젠의 경우 5600x 지금도 여전히 가성기 극강으로 사용되고 있는거 더해 7600이 4080의 성능을 꽤나 끌어내올수 있다는점으로 보았을때 7600의 보드가격만 안정화 된다면 다시한번 리사수여사님의 웃음을 볼수 있을듯 합니다. 이젠 amd가 진짜 인텔한테 밀린다 이런말 못할거 같습니다. 오히려 인텔이 더더욱 분발해야할거 같아요 최근 3-4년간 amd측 씨피유가 라이젠5 3500x . 3600부터 시작해서 지금까지 비약적인 발전을 한 반면 인텔은 8.9세대 이후에도 소켓 장난질하면서 소비자 우롱한거 생각해보면 12세대 이용자분들이 13세대로 건너간다고 해도 엄청난 차이를 느끼지 못할거 같습니다 특히 게임에서요...
@user-xc8ej1lm1v : FHD 환경에서 13400의 프레임이 떨어지는 것은 근본적으로 성능이 7600보다 느리기 때문에 그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4K에서는 GPU가 여유가 없어서(풀로드) 프레임의 발목을 잡았다면, FHD에서는 GPU가 여유가 있어서 4K의 병목현상으로 가려졌던 CPU의 성능이 표시된거라 봅니다.
@pto1004 : 애초에 작업하고 고성능이 필요한거라면 암드는 라이젠7900이상 인텔은 13600k이상 사용할텐데
큰작업없이 공냉으로 게임컴 시스템 구성시 7600이 가성비 갑이라 생각합니다.
차후에 7천3D제품도 노릴수 있구요.
FHD글카병목도 그닥없고 되게잘나온 시퓨라 생각해요.
영상처럼 돈 조금더 태울거라면 i5 13500 좋습니다
@user-zb8oi7bi7l : 이게 13400이 찌발릴 수밖에 없는 이유가 있습니다.
단순히 보면 같은 세대라고 볼 수 있는데요, 13400 의 내부 캐시라던가 등등 살펴보면 13600 이랑 달라요. 13400 은 12400에서 E코어만 생긴 버전 느낌이구요,
13600 은 13700 에서 코어가 적은 버전 느낌이에요. 아예 기반 자체가 달라요.
달리 말하면 13400 은 12400 이랑 E코어 늘어난거 말고는 성능차이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즉 게임성능은 12400 에 비해 차이가 적습니다.
그냥 13세대라고 무늬만 붙여놓고 비싸게 팔려는 상술입니다. 인텔 아직 정신 못차렸습니다.
즉 13600 미만 버전들은 그냥 12세대 인텔 혹은 5천번대 라이젠이랑 비교 대상인겁니다.
고로 13400 사는 인간들은 호갱인겁니다. 아예 돈 더 써서 13600 가거나 가성비 따지면 12400 간 다음에 그래픽 카드를 하나 더 높은거 사세요.
500만원에서 14만원이 된 CPU리뷰
제품명 - E5 2696 V3
일반 소비자 판매용 제품은 아니었으나
세월이 지나며...제 손에 14만원에 들어왔습니다.
#제온
#떡락
#CPU
무한질럿 : 고급 구형cpu가 아무리 코어가 많고 오버해서 클럭을 올려도 보급 신형cpu를 이기기 힘든게 내장된 명령어셋에서 차이가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세대가 바뀔수록 효율좋은 명령어셋이 계속 추가가 되거든요. 구형이 하나하나 생각하며 계산할 때 신형은 그냥 공식에 넣고 바로바로 뽑아내는거죠.
JC : 정말 AMD가 부활하기 이전, 그러니까 라이젠 나오기 전에는 이런 제온 같은 코어수 많은 CPU들의 가격이 엄청나게 비쌌었죠.
AMD한테 정말 고마운 게, AMD가 아니었다면
아직도 인텔의 짠물코어로 4코어 4쓰레드나 4코어 8쓰레드에 멈춰있었을 거에요.
그래서 독점은 무섭고, 경쟁사가 있는 게 소비자 입장에선 좋은 겁니다.
riwon : 과거엔 구경도 못하는 시퓨를 이제 가정에서 조립해서 써볼수 있다는데에 의미가 있겠네요~ 이런 시퓨로 게임벤치 영상 구경 해보는것도 세월이 참 많이 지나긴 했구나 싶기도 하구요 ㅎㅎ
김현준 : 최근 CPU 싱글코어 성능이 급격히 좋아져서 멀티작업까지 영향을 끼치네요.
게임이며, 작업이며 일반인이 무리해서 하이엔드 갈 필요가 없는것 같아요.
상황에따라 최신세대 i3, i5만 가도 여유롭게 쓸듯 합니다. 좋은 영상 감사합니다.
한가애담(HAN DIY TV) : 좋은 영상 이었던 것 같습니다.
저도 작년에 오랜만에 제 PC를 만들어서 컴퓨터 한번 만들면 8년은 쓰는 타입이라...
영상 편집도 할 겸... 코어수가 많은 5900x로 PC를 만들었습니다.
생각보다 영상편집 인코딩에서... CPU의 멀티코어 사용율이 높지 않아서... 약간 아쉬운 면이 있었습니다.
5950X를 사지 않은 것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
또한 하드웨어 가속기(GPU)를 이용하여 인코딩을 하면 좀 인코딩 속도는 좀 빠르겠지만... 3070 그래픽 카드만 해도...
CPU보다 가격이 비싼데... 조금 더 빠르게 인코딩 하자고 그래픽카드를 혹사하는 것 보다는...
차라리 5900x 인코딩 시켜 놓고 남는 시간에 썸네일 편집이나... 유튜브 검색 등을 하며 기타 다른 작업을 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 그렇게 쓰고 있습니다.
멀티코어 활용에 대한 아쉬움이 있던 참에 공감하는 좋은 영상 잘 보고 갑니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